예수전 묵상 1

同黎 2010. 1. 10. 23:45
그런데 이미 저녁때가 되자 그분의 제자들이 다가와서 아뢰었다. "이곳은 외지고 이미 저녁때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을 해산시켜, 주변 농가와 마을로 가서 먹을 것을 제각기 사게 하십시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대답하여 "여러분이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시오" 하시니 제자들은 그분께 "저희가 가서 이백 데나리온어치 빵을 사다가 그들에게 먹도록 주라는 말씀입니까?" 했다. 그러자 그분은 그들에게 "여러분이 빵을 몇 개나 갖고 있습니까? 가서 보시오" 하셨다. 그래서 그들이 알아보고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가 있습니다" 했다. 그러자 제자들에게 명하여 모두 푸른 풀(밭)에 패를 만들어 자리잡게 하라고 하셨다. 그래서 사람들은 백 명씩 또는 오십 명씩 조를 짜서 자리잡았다. 그러자 그분은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드시고 하늘을 우러러 찬양하신 다음 빵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면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게 하셨다. 또한 물고기 두 마리도 모든 사람에게 나누어주셨다. 42 그리하여 모두 먹고 배가 불렀다. 43 그리고 빵조각을 모았더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으며 남은 물고기도 모았다. 44 그런데 먹은 이들은 장정만 오천 명이었다.(마가 6:35~44)

‘오병이어’의 이적. 예수가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수천명(“장정만 오천명”이라 적혀 있다)을 배불리 먹였다는 복음서의 유명한 에피소드다. 어떤 사람들은 이 에피소드가 과학적 사실인가를 두고 부질없는 논란을 벌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이 에피소드에서 과학이 아니라 예수의 가르침을 들어야 한다.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먹어도 먹어도 음식이 솟아난 걸까? 아니면 손톱만큼씩 뜯어 나누어 먹은 걸까? 중요한 건, 아무리 모자라는 것이라도 함께 나눌 때 모두 충분히 만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에피소드는 이른바 ‘나눔’에 대한 우리의 알량하고 가식적인 생각을 부순다. 우리는 대개 나눔을 나와 내 식구가 먹고 남는 걸로 불쌍한 사람을 돕는 적선이나 자선이라 생각한다. 그 생각은 다시 ‘불쌍한 사람을 돕기 위해선 부자가 되어야 한다’는 이상한 논리로 환원된다. 많은 부모들은 제 아이가 부자가 되길 바라는 욕망을 ‘부자가 되어야 불쌍한 사람을 많이 도울 수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물론 적선이나 자선이 금세 굶어 죽을 사람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사실을 정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그가 굶어 죽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주목해야 한다.
나눔은 고통에 처한 사람에 대한 연민에서 시작하지만, 연민에만 그칠 때 나눔은 사람을 ‘불쌍한 사람’과 그 불쌍한 사람을 돕는 ‘훌륭한 사람’으로 역할을 나누어서 벌이는 기괴하고 우스꽝스러운 쇼에 머물게 된다. 아주 많은 사람들이 그 쇼에 참여함으로써 그런 고통스러운 현실에 자신의 안온한 삶이 관련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심리적 불편을 씻어낸다. 그리고 부자들은 재 재산의 극히 일부를 내놓고 온 세상의 칭송을 받으며 세금을 감면받는다.
나눔은 고통에 처한 사람에 대한 연민에, 그 고통스러운 현실을 만들어내는 불의한 사회에 대한 정당한 분노가 더해질 때 비로소 그 최소한의 꼴을 갖춘다. 나눔은 어떤 사람은 쉬엄쉬엄 일하면서도 천상의 안락을 누리고 어떤 사람은 종일 뼈 빠지게 일하고도 먹고살기조차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나눔은 누구든 제 능력과 개성에 맞추어 정직하게 일하는 것만으로 사람으로서 품위와 자존심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현실에 닿아있다. 나눔은 적선이나 자선이 아니라, 적선과 자선이 없는 세상을 만드는 일이다. 나눔은 세상을 '나눔의 체제'로 변화시키는 일이다.
나눔은 단지 공정한 사회에 머물지 않는다. 나눔은 궁극적으로 누구에게도 소유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노력이자 행동이다. 나눔은 자연도 자원도 돈도 식량도 집도 땅도 하느님의 것임을 깨닫는 것이며, 그래서 누구에게도 사적으로 소유될 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며, 또 그렇게 할 때 모두 함께 풍요롭고 만족할 수 있음을 우리 삶의 이치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결국 나눔은 세상의 그 어떤 변혁운동보다 더 근본주의적이며 급진적인 운동이다. 오병이어 에피소드는 우리에게 바로 그 사실을 장엄한 풍경으로 보여준다.
당신에게 나눔의 얼굴은 어떻게 그려지는가? 나눔을 설파하는 사람들, 보기만 해도 가슴이 저리는 굶고 병든 아이의 얼굴을 실은 홍보물을 당신에게 내밀며 그 아이가 당신에게 꼬박꼬박 감사의 엽서를 보낼 거라고 말하는 사람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불쌍한 사람’과 ‘훌륭한 사람’의 역할 분담은 바뀌지 않은 것임을 보장하는 하고많은 나눔 단체들의 얼굴처럼 부드럽고 온화하기만 한가? 만일 그렇다면 당신은 그 얼굴에 나눔의 또 다른 얼굴, 혁명보다 더 사납고 성난 얼굴을 보태는 게 좋겠다.

나눔은 남을 때 하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하는 것이라는 것.
즉 연대라는 것.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전 묵상 3  (0) 2012.08.14
예수전 묵상 2  (0) 201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