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대정명기감

대정명기감(大正名器鑑) 해설9 - 총설9

同黎 2021. 8. 9. 00:24

명기와 고보리 엔슈(小堀遠州)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 시대에 축척된 히가시야마어물(東山御物), 그 외 무라타 주코(村田珠光)·타케노 죠오(武野紹鴎)·센노 리큐(千利休) 및 같은 부류의 종장(宗匠) 등이 매우 아끼거나 이름을 붙인 상자를 만드는 등 여러 풍류적인 색채를 더한 명기들은 그 수가 본디 많았다고 할지라도, 겐키(元亀)·텐쇼(天正)의 난이나 오사카성 함락 등으로 인하여 그 수가 크게 줄게 되었다. 한편 도쿠가와씨의 천하가 이제 확립되면서 대소 영주 모두 에도로 참근교대(参勤交代)를 하게 되면서 웅장한 저택을 갖추게 되고, 막부도 천하태평책의 일환으로 적극적으로 다도 풍류를 장려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서 명기를 원하는 자들이 급증하게 되면서 종래의 명물만으로는 도저히 그들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게 되었다.

 

여기서 3대 쇼군의 다도 사범이던 코보리 엔슈(小堀遠州) 등은 막부의 뜻을 받아들여 교류 목적의 다도회를 빈번히 행하였다. 동시에 가마쿠라시대부터 계속해서 일본 내로 수입된 중국·조선·남만 여러 섬의 작품 및 세토 등 일본 내 각지의 도기(陶器)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을 선발한 뒤 이름을 붙이고 히키야(挽家, 다기를 보관하는 나무로 된 작은 통)·시후쿠(슈후쿠, 修覆, 다기를 싸는 비단 등으로 된 주머니)를 제작하는 등 기타 다양한 의장(意匠)을 연구하는데 힘썼는데, 다만 종래의 명물 이외에 새로운 명물 다기를 어느 정도로 증가시켰는지는 알 수 없다.

 

이리하여 칸에이(寛永, 1624~1645) 이전을 명물을 대명물(大名物), 엔슈 시기의 새로운 명물을 중흥명물(中興名物)이라고 칭하기에 이르렀는데, 당시에는 리큐에게 직접 전수받은 원로들이 아직 일부 생존하고 있었다. 호소카와 산사이(細川三斎), 오다 우라쿠사이(織田有楽斎), 쿠와야마 사콘(桑山左近), 카네모리 소와(金森宗和), 사쿠마 쇼겐(佐久間将監) 등인데, 당시의 요구에 따라 각자 신명물을 선정하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칸에이(寛永) 전후로 일본에 있는 명기의 수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일이 벌어져 수량을 세기 어려울 정도였다. 그런데 이 중에서 6, 7할은 엔슈의 취향과 관련된 물건이었기 때문에 그는 이 분야에 있어서 다대한 명기들에 기여한 대은인이며, 그 유덕(遺徳)이 미치는 바는 광대무변(広大無辺)하며 진실로 다도(数寄道)의 신이라고 칭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