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석사로 가는 길 10

석사로 가는 길 10 - 심사본

17세기 ~ 18세기 전반 僧軍의 확대와 調發방식의 변화 高麗大學校 文科大學韓國史學科 박 세 연 2013年 12月 5日 目 次 머리말 1 1. 17세기 전반 국가의 僧軍 활용과 調發 6 1) 임진왜란 이후 국가의 승군 활용6 2) 總攝을 통한 간접적 승군 조발17 2. 17세기 후반 義僧役의 시행과 僧軍 調發 방식의 변화 24 1) 孝宗代 南漢山城의 정비와 義僧役의 시행 24 2) 국가의 직접적 義僧 조발 방식의 성립34 3) 度牒 발급의 중단과 僧帖의 등장42 3. 18세기 전반 방어체제의 변화와 地方 僧軍의 확대 50 1) 지방 방어체제의 정비와 山城의 증가50 2) 地方 僧軍의 확대와 義僧防番錢制의 시행57 결론64 참고문헌67부록․74 머리말 임진왜란이라는 거대한 전쟁을 겪은 17세기의 조선은 여..

석사로 가는 길 9 - 석사학위 예비발표문

17세기~18세기 초 僧軍의 확대와 승려 調發방식의 변화 석사수료박세연 緖論1. 17세기 전반 국가의 승군 활용 1) 임진왜란 이후 승역의 확대 2) 17세기 전반 摠攝을 통한 간접적 승군 조발2. 17세기 후반 의승역의 시행과 승려 조발 방식의 변화 1) 효종대 南漢山城의 정비와 義僧役의 시행 2) 17세기 후반 국가의 직접적 의승 조발 방식의 성립3. 18세기 초 방어체제의 변화와 지방 승군의 확대結論 緖論조선은 성리학의 이상을 바탕으로 세워진 유교국가였다. 조선은 국가통치의 바탕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으며, 사회구조 자체를 유교적으로 재구성하려 하였다. 이에 따라 다른 종교와 신앙은 異端으로 지목되고 교화와 파타의 대상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오랜 세월동안 신앙되어온 불교는 성리학에서 가장 경계하는 ..

석사로 가는 길 8 - 일곱번째 원고 (마지막 팀세미나)

17세기~18세기 초 僧軍의 확대와 승려 調發방식의 변화 석사수료박세연 緖論1. 17세기 전반 국가의 승군 활용 1) 임진왜란 이후 승역의 확대 2) 17세기 전반 摠攝을 통한 간접적 승군 조발2. 17세기 후반 의승역의 시행과 승려 조발 방식의 변화 1) 효종대 守禦廳의 정비와 義僧役의 시행 2) 17세기 후반 국가의 직접적 의승 조발 방식의 성립3. 18세기 초 방어체제의 변화와 지방 승군의 확대結論 緖論조선은 성리학의 이상을 바탕으로 세워진 유교국가였다. 조선은 국가통치의 바탕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으며, 사회구조 자체를 유교적으로 재구성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가의례와 국가제사에서 시작하여 지역 공동체의 각종 행사와 민간의 제사, 세시풍속을 서서히 유교적으로 재편하면서 유교는 종교의 역할을 하..

석사로 가는 길 7 - 여섯번째 원고

17세기~18세기 초 僧軍의 확대와 승려 조발방식의 변화 석사수료박세연 緖論1. 17세기 전반 국가의 승군 활용 1) 임진왜란 이후 승역의 확대 2) 17세기 전반 총섭을 통한 간접적 승군 조발2. 17세기 후반 의승역의 시행과 승려 조발 방식의 변화 1) 효종대 군비확장정책과 의승방번제의 시행 2) 국가의 직접적 승려 조발체제 확립3. 18세기 초 방어체제의 변화와 지방 승군의 확대結論 緖論조선은 성리학의 이상을 바탕으로 세워진 유교국가였다. 조선은 국가통치의 바탕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으며, 『경국대전』의 육전 체계가 보여주듯이 사회구조 자체를 유교적으로 재구성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가의례와 국가제사에서 시작하여 지역 공동체의 각종 행사와 민간의 제사, 세시풍속을 서서히 유교적으로 재편하면서 유..

석사로 가는 길 6 - 다섯번째 원고

17세기 僧侶의 國役體制 편입 과정 석사수료박세연 緖論1. 17세기 국가재정의 변화상과 僧役의 定役化 1) 17세기 전반 수치제도의 변화와 승역의 확대 2) 17세기 후반 군비확장정책과 義僧役의 시행2. 승려 조발 방식의 변화 寺刹役으로서의 승역 1) 부역승 조발 방식의 변화 - 모입에서 분정으로 2) 의승의 조발과 사찰역으로서의 의승역3. 승역 확대와 승려의 위상 변화結論 緖論조선은 성리학의 이상을 바탕으로 세워진 유교국가였다. 조선은 국가통치의 바탕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으며, 『경국대전』의 육전 체계가 보여주듯이 사회구조 자체를 유교적으로 재구성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선에서 유교는 종교이기도 했다. 국가의례와 국가제사에서 시작하여 지역 공동체의 각종 행사와 민간의 제사, 세시풍속에 이르기까지 ..

석사로 가는 길 5 - 네번째 원고

17세기 僧侶의 國役體制 편입 과정 석사수료박세연 緖論1. 17세기 국가재정의 변화상과 僧役의 定役化 1) 17세기 전반 수치제도의 변화와 승역의 확대 2) 17세기 후반 군비확장정책과 義僧役의 시행2. 승려 조발 방식의 변화 寺刹役으로서의 승역 1) 부역승 조발 방식의 변화 - 모입에서 분정으로 2) 의승의 조발과 사찰역으로서의 의승역3. 승역 확대와 승려의 위상 변화結論 緖論조선은 성리학의 이상을 바탕으로 세워진 유교국가였다. 조선은 국가통치의 바탕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으며, 『경국대전』의 육전 체계가 보여주듯이 사회구조 자체를 유교적으로 재구성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선에서 유교는 종교이기도 했다. 국가의례와 국가제사에서 시작하여 지역 공동체의 각종 행사와 민간의 제사, 세시풍속에 이르기까지 ..

석사로 가는 길 4 - 세번째 원고

17세기~18세기 초반 僧侶의 國役體制 편입 과정 석사수료박세연 서론1. 壬辰倭亂 이후 국가의 僧侶 활용 1) 壬辰倭亂 이후 力役의 승려 동원 2) 官營手工業의 쇠퇴와 寺刹手工業의 확대2. 17세기 중반 僧役의 제도화 1) 남한산성 義僧防番制의 성립 2) 國家財政의 變通과 折受屬寺의 革罷논의3. 승려의 국역체제 편입과 지방 부속 1) 僧侶의 戶籍 등재와 승려의 半公民化 2) 寺刹의 郡縣 附屬과 寺刹役결론 : 지방사회에서의 승려와 사찰 서론조선의 국가재정은 田稅·徭役·貢物이라는 세 요소의 수취와 신분관계에 기반한 身役 기초하여 운영되었다.1) 이 몇 가지 재정 수취 체계는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토지를 소유한 자는 누구나 국왕에게 전세를 납부하여야 했다. 그리고 일종의 勞動地代로써 1년의 몇 일..

석사로 가는 길 3 - 두번째 원고

17세기~18세기 승려의 국역체제 편입과 지방 부속 석사수료박세연 서론1. 壬辰倭亂 이후 僧侶의 비정규적 力役 동원2. 17세기 중반 南漢山城 義僧防番制의 성립과 운영 1) 南漢山城 義僧防番役의 성립 과정 2) 義僧防番役에서의 義僧 調發과 운영3. 僧役의 定役化와 지방의 자율적 승려 관리 1) 義僧防番役의 성립과 지방의 승려 통제 2) 지방의 승역 운용과 승역의 잡역화결론 서론조선의 국가재정은 田稅·徭役·貢物이라는 세 요소의 수취와 신분관계에 기초한 國役에 기초하여 운영되었다. 이 몇 가지 재정 수취 체계는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토지를 소유한 자는 누구나 국왕에게 전세를 납부하여야 했다. 그리고 일종의 勞動地代로써 1년 중 며칠 동안 국가를 위해 요역을 부담해야 했다. 국왕의 臣民으로 노비의..

석사로 가는 길 2 - 첫번째 원고

17세기 僧役의 변화와 應役屬寺의 定立 석사 4학기박세연 緖論Ⅰ. 壬辰戰爭 이후 국가의 僧役 활용 1) 力役으로서의 僧役 강화와 쇠퇴 2) 관영수공업의 쇠퇴와 貢納·進上紙의 寺刹 分定Ⅱ. 僧役의 확대에 따른 折受屬寺의 증가 Ⅲ. 折受屬寺의 革罷와 地方應役屬寺의 定立 1) 國家財政의 變通論議와 折受屬寺의 革罷 2) 應役屬寺의 郡縣 附屬과 寺刹役結論 緖論조선은 불교의 폐해를 비판하며 성리학을 국시로 개국하였다.1) 조선의 중앙정부와 지배층은 虛無寂滅의 異端으로 지목된 불교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배척하는 태도를 보였다. 때문에 조선초기에 불교의 여러 종파는 선교 양종으로 통합되었고, 일부 사찰만 국가적으로 공인되었다. 나머지 사찰의 토지와 노비는 모두 국가로 몰수되어 국가재정에 흡수되었다.2) 그러나 성리학이 ..

석사로 가는 길 1 - 구상발표문

조선후기 寺刹役 연구-승역에서 사찰역으로의 전환과 각종 재정단위의 교차점으로서의 사찰역- 석사4박세연1. 머리말2. 조선후기 승역의 해체와 사찰역의 정착 1) 조선전기의 승역 2) 17세기 수취체제의 변화와 사찰역의 정착3. 사찰역의 내용 4. 조선후기 사찰역의 반대급부 1) 사찰의 위상과 사찰역 2) 사찰역 관련 아문과 시주5. 맺음말 1. 연구사와 문제제기해방 이후 진행된 조선후기에 대한 연구에서 불교는 그다지 흥미로운 주제가 아니었다. 특히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불교사원은 거의 주목되지 못하였다. 이는 불교가 이전 시대에 비하여 주도적 사상으로서 작동하지 못하였다는 사실 때문이기도 하였지만, 불교는 여성이나 사회 주류에서 소외된 이들만이 신앙했을 것이며 조선시대사의 전체적 흐름과는 별다른 관계가 없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