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일본 여행기 14차 東京, 東北

동일본대탐험 - 5일 일본민예관日本民藝館1

同黎 2018. 7. 10. 18:00



이제 다시 이동


잠깐 택시타고


금새


신주쿠역으로 이동한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역

자신이 없어서 바로 JR로 이동


JR신주쿠



우리는 기차를 타고 시부야역으로 가서 택시를 타고 이동했다.


일본민예관 도착

일본민예관(日本民藝館. 日本民芸館, 니혼민게이칸)은 그 유명한 일본 민예운동의 아버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가 설립한 박물관이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무명의 장인이 만든 공예품, 민중 예술의 아름다움을 발굴하여 기존 주류이던 아트 중심의 미술사에 도전한 민예운동의 창시자이다. 그의 사상에 대해서는 문화적 제국주의라는 부정론에서 문화적 아나키스트이자 조선 미술사의 새 창시자라는 긍정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가 말한 조선의 정서인 한(恨)만 해도 90년대까지는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를 한으로 한정으로 했다는 비판부터, 일본에 있는 슬픔의 정서와 동일시하여 내선일체를 꾀했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한민족의 정서를 한 가지로 규정하려 한 것에는 문제가 있지만 일제강점기 그가 조선 문화재의 보존에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그의 영향은 지대해서 이후 무나카타 시코 같은 일본 판화, 회화의 거장을 낳기도 했으며, 한국의 민중미술 또한 그의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았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조선의 미술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조선 도자사를 시작한 것으로 평가받는

아사카와 노리타카, 아사카와 다쿠미 형제와 함께 조선미술을 본격적으로 발굴했다. 특히 백자에

대한 사랑이 대단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하여 1921년 일본 도쿄 칸다에서 최초의 조선미술

전람회를 열기도 하였고, 1924년에는 경복궁 내에 조선민족미술관이라는 박물관을 열었다.

이 곳은 이후에 손진태에 의해 남산의 국립민족박물관이 되었는데 전쟁 중에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편입되고, 사상적으로는 국립민속박물관으로 계승되었다.

조선에 심취했던 야나기 무네요시는 이후 민중적 불상인 에도시대의 모쿠지키불(목식불)에 관심을 기울였던 이어 일본의 민예와 류쿠, 아이누, 중국, 대만, 동남아와 네이티브 아메리카인들에게까지 관심이 미쳤다. 이렇게 수집한 유물을 공개하기 위해 도쿄국립박물관에 기증하려 하지만 거부당한다. 결국 그는 교토에서 도쿄로 거처를 옮기고 오하라 재벌의 수장인 오하라 마고사무로의 도움을 받아 도쿄 교외인 지금의 코마바에 2층짜리 전통식 창고 건축을 본딴 일본민예관을 건설하고 초대 관장으로 취임한다. 이후 도쿄대공습으로 본관 일부가 손상되긴 하지만 계속하여 민예운동의 거점으로 활약한다.


일본민예관은 이후 다른 곳으로도 계승된다. 오사카, 오키나와, 구마모토, 교토 등 12곳의 민예관이 세워졌으며, 오하라 재벌의 오하라미술관, 아사히맥주의 오야마자키산소미술관도 민예운동의 영향으로 세워진다. 이후 본관 뒤편에 철근콘크리트조의 신관이 세워지고, 도치기현에 있던 야나기 무네요시의 자택을 옮겨와 서관으로 삼았다. 지금 본관과 서관 및 본관의 담과 문이 국가등록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서관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자택 정문


서관은 아주 한정일만 공개되어 있다.


등록문화재 현판


서관이라는 표식


바로 앞에 본관 건물이 보인다.


어쨌든 야나기 무네요시는 대단한 인물

꼭 한 번 오고 싶었다.


일본민예관 현판


정원에도 작은 유물들이 있다.

작은 석불상


아마 야나기파의 현대 작가 작품인 듯한데


판비


작은 불상들


민불들


관음보살인가


두 개의 보협인탑을 겹쳐놓은 모양


큰 수조


본관 앞


빗물받이 하나도 범상치 않다.


본관 입장


딱 민예풍의 소박하면서 아름다운 건축이다.


아이누의 복장


조선의 나전칠기 함


에도시대 민불 조각가인 모쿠지키의 자각상


고양이 모양의 향로


녹유 소완


조선의 편구발


근대기 주전자


작은 접시


전시장 가운데 불단 위에는 바구니를 하나이레로 삼았다.


아이누의 어피 철검



조선의 철제 보살좌상

조선 전기 것이라는데 거의 처음 보는 듯하다.


팔각호

역시 조선 것이 아주 많다.


목조보살상


백자호


석조나한상

고려시대의 전형적 나한상


곱돌 화로


동자석


석조불상


석조 보주

아마 어느 탑의 머리였던 듯


석조보살좌상

고려시대?

한국 쪽 조사 결과로는 조선시대다.


목조도인상

조선시대


청화백자 베개침


금동 대일여래좌상으로 조선 후기라는데 잘 모르겠다.

시기가 틀린 듯

일단 한국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서 조사한 결과에 제외되어 있는 것을 봐도 후대의 방품일 가능성이 있다.


백자양각박쥐문합

조선의 것


백자화로


가운데는 커다란 일본식 무쇠화로가 준비


각종 다완들

야나기 무네요시는 명물이 아니라 그냥 나도는 도자기 중 자신의 마음에 맞는 것을 다완으로 삼았다.

기존에 내려오던 다도류와는 맥을 달리하는 것


백자제기


귀얄문 다완과 작은 뚜껑


백자명기


오이도다완


귀얄


분청사기들

일본 분류로는 미시마


덤벙분청

이곳 명칭으로는 코히키


백자 편병


쿠마가와다완


흑유편병


굽이 높은 백자제기

이런 것 찾기 힘들다.


작은 백자수적


자명종

에도시대의 것


조센카라츠유 사각반


이유다완

근대의 것


일본 도자기이다


손바닥 무늬의 가마

재치있다


아래부터 먼저 일본민예관의 조선 소장품을 살펴보자


청자합의 뚜껑들



청자상감합


청자철화모란문대반


청자철화당초문합


흑유병


흑유발


청사상감운학문매병


분청사기상감연류문매병


분청사기조화어문병


분청사기박지화문병


분청사기상감어문병


분청사기박지철채모란문편병


분청사기덤벙완


분청사기귀얄문완


분청사기귀얄문완


분청사기철화장군


이도다완


아오이도다완


오이도다완


한국에서는 백자로 분류한다.

쿠마가와다완


백자합으로 분류되는 고혼다완


백자편병


백자소호


흑유편병


흑유병


흑유완


백자철화운죽문호


백자철화완

이건 일본 주문품 같은데


백자철화운룡문호


백자철화운룡문호


백자대호

매병과 닮았다


백자대호

아름다운 작품이다


백자청화난문호

역시 백자는 야나기가 좋은 걸 많이 가져갔다.


백자청화초화문호


백자청화조화문호


백자청화난초문호


백자청화초화문편병

와 좋다


백자청화초화문각병


백자청화제현주병명팔각명


백자청매조문호


백자청화매조문호


백자청화포도문호


백자투각포도문분대

화분받침대라고 한다

의자 같이도 생겼는데


백자동화호문호


백자동화파초문호


백자각병


백자대호


백자양각화문삼단합


백자각형발


백자각발


백자사각제기


백자투각만자문잔받침


백자촛대


백자유개소호


백자강판


백자사각합


백자청화투각용문지통


청화백자산수어문접시


백자청화도형연적


각종 백자연적


역시 청화백자연적들


동화백자연적들


청화백자이층합과 담뱃대


청화백자삼층합


백자청화화조문이층합


백자청화압문대접


석간주각형병


석간주원통형병


회령유발


분청사기선문발

다완으로 쓰던 것


백자흑상감당초문완

역시 다완으로 쓰던 것


계속해서 다른 조선 유물들을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