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교양 불교미술

사찰 둘러보기 3 (부속건물)

同黎 2018. 7. 17. 02:30

 관음전(觀音殿) , 원통전(圓通殿)

관음보살을 모시는 전각입니다. 관음보살이 원만하게 두루두루 모든 중생을 살펴 준다 하여 원통전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관음보살을 혼자 모십니다.

 


법주사 원통보전 (보물)



지장전(地藏殿), 명부전(冥府殿), 시왕전(十王殿), 업경전(業鏡殿)

죽은 이들을 위한 전각으로, 지장보살과 저승 10왕을 모시는 전각입니다. 지장보살이 명부, 즉 저승에서 중생을 구제하기 때문에 명부전이라고도 하며, 살아 생전의 죄과를 비추는 거울인 업경(業鏡)이 있다하여 업경전이라도 합니다. 지장보살을 모시고 협시로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를 두며, 저승의 10대왕을 그린 불화와 시왕의 조각을 함께 모십니다. 여기에 시왕을 보좌하는 동자, 판관, 녹사와 잡귀를 쫓는 역사 상을 함께 모십니다. 조선 후기에 죽은 이를 위로하는 우란분재나 수륙재가 많이 행하여졌기 때문에 함께 중요성이 올라가 거의 모든 사찰에 있는 전각입니다.


서울 흥천사 명부전



응진전(應眞殿), 나한전(羅漢殿), 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부처님의 제자 중 (소승불교에서) 가장 높은 깨달음의 경지인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오른 이들을 모신 전각입니다. 아라한과에 오른 이들을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십육나한과 오백나한을 모시는데, 특히 16나한을 많이 모십니다. 십육나한을 모실 경우에는 특별히 응진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존불은 석가여래로, 문수, 보현보살이 협시하거나, 부처님의 제자인 아난, 가섭존자가 협시합니다.

승려를 불교에서는 승보(僧寶)라 하여 매우 중요시 여기는데, 때문에 승보사찰인 순천 조계산 송광사에는 특별히 승보전이라는 건물을 두었습니다.


성혈사 나한전 (보물)



조사당(祖師堂), 국사전(國師殿), 영각(影閣), 진영각(眞影閣)

각 종파의 위대한 스님들이나, 그 절에 거주하였던 고승들의 영정을 모신 곳입니다. 부처님을 모신 곳보다 격을 낮추어 당(堂)이라고 하나 가끔 전(殿)이라고 높이는 곳도 있습니다.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부석사 조사당 (국보)




적멸보궁(寂滅寶宮)과 계단(戒壇)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을 적멸보궁이라고 합니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신체의 일부를 모시기 때문에 가장 높은 격의 건물이며 안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습니다. 불단 위에는 불상이나 불화를 놓지 않고 빈 벽만을 두며, 그 방향은 진신사리가 모셔진 탑이나 계단을 향하게 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통도사의 대웅전입니다. 진신사리를 모신 곳은 돌로 여러 층의 단(壇)을 쌓고 그 꼭대기에 종 모양의 부도를 놓고 그 안에 진신사리를 모시는데 이를 계단이라고 합니다. 통도사의 금강계단과 금산사의 방형계단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는 여러 곳의 적멸보궁이 있으나 5곳이 가장 확실하고 역사가 깊기 때문에 5대 적멸보궁이라고 부릅니다.

*한국의 5대 적멸보궁

-경남 영축산 통도사

-강원 태백산 정암사

-강원 설악사 봉정암

-강원 오대산 월정사 중대

-강원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이라 불상이 없는 통도사 대웅전(국보)


통도사 금강계단 (국보)


정선 정암사 적멸보궁



삼성각(三聖閣), 칠성각(七星閣), 북극전(北極殿,) 독성각(獨聖閣), 산신각(山神閣), 용왕각(龍王閣)

이 전각들은 불교와 민간신앙의 합일을 보여주는 것으로, 칠성과 독성, 산신 등을 모시는 곳입니다. 주로 가람배치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하며 전각의 크기 역시 매우 작는 것이 보통입니다. 칠성과 독성, 산신 등을 한꺼번에 모실 때에는 삼성각(三聖閣)이라고 하면, 독자적으로 모실 때에는 각각의 이름을 부칩니다. 절에 따라 산신 대신 용왕을 모신 곳도 있습니다. 전각의 크기는 작으나 가장 기복적 의미가 크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찾는 곳입니다. 불상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으나 불화는 꼭 있습니다.

칠성각은 북극성을 신격화한 치성광여래와 북두칠성을 모시는 곳으로, 북극전이나 금륜전이라고 합니다. 도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독성각은 스승 없이 스스로 수행하여 깨달은 독성불, 혹은 나반존자를 모시는 곳입니다. 산신각은 그 절이 위치한 산의 산신을 절의 수호신으로 삼은 것으로, 바닷가에 위치한 절에서는 산신 대신 용왕을 모시기도 합니다.

이 전각들은 부처님이나 보살을 모신 전각보다 격을 낮추어 전(殿)이 아니라 각(閣)이라고 하지만 아들을 낳거나 부귀를 바라는 등 기복신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신도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범어사 팔상전,나한전,독성전 (한 건물에 3개의 불단이 있음)




가산사 산식각



통도사 삼성각



경판각(經板閣), 장판각(藏版閣), 법보전(法寶殿), 판전(版殿)

부처님의 말씀을 옮겨 놓은 불경이나 불경을 새긴 목판(木板)을 보관해놓은 곳입니다. 불경은 법보에 해당하는데, 법보사찰인 해인사에서는 특별히 팔만대장경을 보관한 판각을 법보전이라고 높여 부릅니다.

 
해인사 법보전, 수다라장 (국보)


봉은사 판전 현판

봉은사 판전 내부




요사채(寮舍寨)

부처님을 모시고, 일반 신도들이 스님들과 함께 참배하고 예불을 드리는 불전과는 달리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스님들이 참배하고 수행하고 공부하는 곳을 요사채라고 합니다. 요사채에는 스님들의 생활공간인 승방과 스님들이 공부하는 강당, 참선 수행을 하는 선방 등이 있습니다. 특별히 조선시대에 선(禪)이 중요시되면서 적묵당이나 설선당 같은 이름을 가진 선방들이 전국에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송광사 하사당 (스님들의 숙소) (보물)

장곡사 설선당 (선방)


마곡사 고방 (창고)






종각(鐘閣), 사물각(四物閣), 법고각(法鼓閣)

종, 법고, 운판, 목어 등의 불전사물을 보관하는 곳입니다.


완주 송광사 종루 (보물)


대곡사 범종각




기타 건축물

기타 절의 행정을 처리하는 종무소, 비를 보호하는 비각, 절에 진입하기 전 영혼들의 목욕을 위한 가람각, 세월각 등의 건물이 있습니다.




순천 송광사 세월각




밀양 표충사 가람각

 

' > 교양 불교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탑(부도)의 이해  (1) 2018.07.17
탑의 구성3 (상륜부)  (0) 2018.07.17
탑의 구성2 (탑신부)  (0) 2018.07.17
탑의 구성1 (기단부)  (0) 2018.07.17
탑의 역사  (1) 2018.07.17
사찰 둘러보기 2 (중심법당)  (0) 2018.07.17
사찰 둘러보기 1 (초입~절 마당까지)  (0) 2018.07.17
가람배치의 시대적 흐름  (1) 2018.07.17
후불탱화 읽기  (0) 2018.07.17
불화 개관 및 팔상도  (0) 20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