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교양 불교미술

탑의 역사

同黎 2018. 7. 17. 02:30

탑 개괄

탑(塔)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구조물로 사찰의 구성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부처님의 사후 사리를 모시기 위한 수 많은 탑이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중국으로 전해져 목탑과 전탑이 수 없이 생기면서 탑은 일종의 불전으로 변모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국으로 와서 석탑의 시대가 열리면서, 사찰 가람배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탑은 내부에 사리, 혹은 불경을 모시고 있으며 그 자체로 중요한 신앙의 대상입니다.




탑의 역사

1) 탑의 기원 : 탑은 본래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나온 팔만사천과의 사리는 여덟 등분되어 인도 전역으로 나누어지며, 부처님의 가사(袈裟)와 화장하고 남은 재까지 사리로 포함해 모두 10개의 탑이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남은 가장 오래된 탑은 산치대탑으로 마치 그릇을 엎어 놓은 것처럼 둥근 모습을 하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우산모양의 산개(傘蓋)가 있는데, 산개는 인도에서 고귀한 신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인도 산치 대탑


그 후 탑은 중국으로 전래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탑이 그들 고유의 고층 누각건축과 결합하여 목탑과 전탑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특히 중국 건축의 핵심인 벽돌로 만들어진 전탑이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중국 장안 대안탑



2)삼국시대 : 불교가 한반도에 처음 전래된 삼국시대에는 중국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목탑들이 건설되었습니다. 지금도 그 흔적이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고구려의 정릉사지의 팔각 목탑지, 백제의 미륵사지 중앙 목탑지, 신라의 황룡사 구층목탑지가 대표적인 삼국시대 탑의 흔적입니다. 삼국시대 말기 목탑이나 전탑의 양식을 석탑으로 재현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게 되는데, 백제의 미륵사지 석탑이나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목탑을 석탑으로 전환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이며, 신라의 분황사지 모전석탑은 전탑 양식을 석탑에 적용한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구려 탑은 현재 남아있는 것이 없어 정확한 양식을 파악할 수 없지만, 남아있는 유적을 보면 공통적으로 팔각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제의 탑은 미륵사지 석탁과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남아있으며, 그 밖에 일본의 목탑을 보고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4각형을 형태와 하늘로 날아갈 듯한 날렵한 비상미가 특징입니다. 신라는 비교적 늦게 탑이 조영되었으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중국의 전탑 양식을 받아들인 것이 특징입니다. 분황사의 모전석탑과 의성 탑리 오층석탑은 전탑양식을 석탑으로 소화해나가는 과정에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제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능산리사지 복원모형

 

일본 법륭사 오층목탑 (백제탑)




신라 분황사 모전석탑



의성 탑리 오층석탑



3)통일신라와 발해 : 통일신라에서는 불교가 융성하여 상당히 많은 양의 탑이 조성되었으며, 현재까지 전해지는 우수한 탑들은 대부분 이 시기의 것입니다. 특히 통일신라에서는 전형적인 석탑 양식이 완성되었는데, 삼국통일 직후에는 신라의 자신감을 보여주듯이 거대한 석탑들이 조성되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입니다. 이후 거대한 석탑의 양식을 지키면서도 크기가 작고 아담한 탑들이 만들어지면서 삼층석탑의 전형을 완성시키게 됩니다. 불국사 석가탑이 바로 완성된 통일신라 석탑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층의 높은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완만한 상승감을 통해 안정성을 추구하였으며, 기본적으로 목탑을 모방하였으나 미륵사지 탑에 비하여 사용되는 석재의 종류가 훨씬 적어지고 구성도 간단해집니다. 즉 목조건축의 구조들, 예를 들면 기단이나 기둥 등을 석탑에 표현하고 있으나 단순히 한 덩이의 돌에 목조 건축의 구조물을 새긴 것에 불과합니다.



감은사지 삼층석탑



불국사 석가탑


석가탑에서 시대가 내려가면서 석탑도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됩니다. 지방에서도 많은 탑이 세워지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크기나 양식이 경주의 것을 따라오지 못하게 됩니다. 한편 기단과 탑신의 여러 면에 사천왕이나 부처와 보살, 팔부중 같은 불교의 신들이나 문(門)을 조각하여 석탑을 화려하게 장엄기도 하는데 진진사지 삼층석탑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기존의 형식을 파괴하는 독특한 탑들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이형(異形)석탑이라고 합니다. 딱 봐도 특이한 다보탑, 1층 외에는 탑신석이 없는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나 2층 기단부를 없애고 사자상을 둔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지질학적 특성상 화강암이 적어 여러개의 전탑이 만들어졌는데, 안동 신세동 7층전탑이 대표적이라고 하겠습니다.



불국사 다보탑



정혜사지 1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삼층석탑


전반적으로 시대가 내려가면서 본래의 형식이 파괴되고 크기가 작아지며, 조각 솜씨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래 석탑이 목조건축의 재현이라는 사실이 망각되면서 탑의 여러 부분이 형식화되거나 숫자가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시대가 내려갈수록 옥개받침의 수가 줄어들고, 1층 기단의 탱주 개수가 줄어드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보림사 삼층석탑 (통일신라 후기)


발해의 탑은 유일하게 전탑 하나가 남아있습니다. 발해 탑의 특징은 불탑만이 아니라 묘위에 짓는 묘탑(墓塔)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전탑이 많이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나 더 많은 유적이 발굴되어야 할 것입니다.



중국 대련의 발해 전탑인 영광탑



4)나말여초와 고려 : 신라 중앙정권의 힘이 약해지고, 각 지방의 유력한 세력이 자체적으로 불사(佛事)를 추진하게 되면서 경주 밖의 지방에서는 특이한 모양의 이형(異形) 석탑과 더불어 각 지방색을 강하게 띄는 탑들이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표적인 이형석탑은 기단을 부처님의 대좌모양으로 만든 철원의 도피안사 삼층석탑입니다.

각 지방에서는 독특한 지방색을 지닌 탑들이 만들어졌는데 경상도에서는 신라 양식을 탑들이 계속 만들어졌으나,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계승한 백제양식, 혹은 백제-신라 절충양식의 석탑들이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백제양식을 계승한 탑의 특징은 신라식의 높은 2층 기단이 없으며, 옥개석이 비교적 평평하고 탑을 이루는 부재가 많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비인 오층석탑입니다. 한편 강원도와 평안도에는 고구려식을 계승한 탑들이 만들어지는데, 고구려계의 탑은 8각형의 몸체에 탑신이 9층 이상으로 높게 솟아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탑은 월정사 8각 9층석탑과 북한 묘향산 보현사의 8각 9층석탑입니다. 또한 청석(靑石)탑이라고 하여 점판암 재질의 검은 돌로 만든 여러층의 작은 탑이 유행합니다. 금산사 육각다층석탑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인 오층석탑(백제계)



월정사 8각 구층석탑(고구려계)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청석탑)


한편 개성에서는 많은 사찰이 건설되어 동시에 많은 탑이 건설되었는데, 이들은 여러 지방에서 유행하던 양식을 두루두루 섞어 놓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개성 남계원 칠층석탑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목탑의 건설 역시 이루어져서 전국에 약 12기의 고려 목탑지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원간섭기에는 경천사지 10층석탑 같이 라마교의 영향을 받은 석탑도 등장합니다. 전체적으로 3층과 5층의 석탑이 비슷한 비율로 만들어졌으며, 7층을 넘는 다층의 탑들도 존재합니다. 통일신라보다 유연하고 월등한 상승미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개성 남계원 칠층석탑




경천사지 십층석탑



5)조선 : 조선시대에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는 석탑의 조성이 많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크기와 높이가 작이지고 조각도 형식적입니다. 다만 조선전기에는 왕실의 후원을 받아 원각사지 10층석탑, 낙산사 7층석탑 등이 만들어지지만, 임진왜란 이후부터는 석탑의 조성 자체가 매우 드물어집니다. 이는 불교의 축소와 동시에 건축에서 다듬은 돌을 왕실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게 했던 규제와도 연관이 있을 것입니다.




낙산사 칠층석탑




수종사 오층석탑

' > 교양 불교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등의 이해  (0) 2018.07.17
승탑(부도)의 이해  (1) 2018.07.17
탑의 구성3 (상륜부)  (0) 2018.07.17
탑의 구성2 (탑신부)  (0) 2018.07.17
탑의 구성1 (기단부)  (0) 2018.07.17
사찰 둘러보기 3 (부속건물)  (0) 2018.07.17
사찰 둘러보기 2 (중심법당)  (0) 2018.07.17
사찰 둘러보기 1 (초입~절 마당까지)  (0) 2018.07.17
가람배치의 시대적 흐름  (1) 2018.07.17
후불탱화 읽기  (0) 20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