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의 일반 도상과 용어
불신(佛身) : 부처님의 몸으로 불상의 가장 중심을 이룹니다.
광배(光背) : 부처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조각에서는 크게 원형(圓形) 광배나, 주형(舟形:배 모양) 광배로 표현됩니다.
대좌(臺座) : 불신과 광배를 받치는 곳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백호(白毫) : 부처님의 이마 가운데 있는 흰 털로, 흔히 보석을 박아 표현합니다. 백호를 통해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고 합니다.
육계(肉桂) : 부처님의 머리 위에는 한 층의 살로 된 언덕이 더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육계입니다. 본래 인도의 상투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나발(螺髮) : 부처님의 머리카락으로 가닥가닥이 소라모양으로 말려 있는 것을 표현했기에 소라 나(螺)자에 머리카락 발(髮)자를 써서 나발이라고 합니다.
계주(桂珠) : 부처님의 머리에서 솟아있는 보주(寶珠)로 연원을 알 수는 없으나, 고려 이후에 많이 나타납니다. 머리 꼭대기에 있는 정상계주와 이마 위에 있는 중간계주가 있습니다.
삼도(三道) : 부처님의 목에 나 있는 3줄기의 주름을 말합니다.
두광(頭光) : 부처님 머리에서 나오는 빛을 말합니다.
신광(身光) : 부처님 몸에서 나오는 빛을 말합니다.
화불(化佛) : 광배에 나타나는 조금만 부처님의 형상으로 부처님이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법의(法衣) : 부처님이 입고 있는 곳을 말합니다. 부처님의 착의법에는 통견과 우견판단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통견(通肩) : 법의를 부처님의 양 어깨를 모두 덮도록 입은 상태를 말합니다.
우견편단(右肩偏袒) : 법의를 부처님의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도록 입은 상태를 말합니다.
* 대좌의 종류
사자(獅子)좌 |
가장 오래된 형태의 대좌로 사자 두 마리가 부처님을 떠받치는 모양. 삼국시대 이후로는 거의 나타나지 없음. |
연화(蓮花)좌 |
가장 일반적인 대좌로 연꽃이 부처님을 받치는 모습. 엎어진 연꽃모양의 복련(伏과蓮)과 활짝 핀 모습의 앙련(仰蓮)이 있음. |
수미(須彌)좌 |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으로 사각이나 팔각으로 만들어지며, 주로 실내에 부처님을 모실 때 쓰임. 수미단이라고도 한다. |
생령(生靈)좌 |
귀신, 악인 등을 대좌로 삼은 것으로 한국에서는 주로 천왕문의 사천왕상의 대좌로 나타남. |
금수(禽獸)좌 |
용, 사자, 코끼리 등이 대좌로 나타나는 것으로, 예가 많지는 않으나, 문수보살은 사자를, 보현보살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불상이 여러 점 전래되고 있음. |
상현좌 |
불상의 법의가 대좌를 덮어 대좌라 뚜렷이 드러나지 않는 형식을 말함 |
암(巖)좌 |
대좌가 자연에 존재하는 바위 모양을 한 것으로 주로 나한상에서 나타남. |
의(依)좌 |
불상이 의자에 앉아있는 형태로, 한국에서는 불상이 의좌를 취하는 경우 삼국시대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음. 다만 조선시대 시왕상이 의좌를 한다. |

사각수미좌 :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통일신라 후기)

팔각수미좌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통일신라)

상현좌 : 부여 능사리사지 출토 석조여래좌상 (백제)

의좌1 : 경주 삼화령 애기부처 (신라)

의좌2 : 청곡사 목조 제석천, 대범천상 (조선)

연화좌 : 호림박물관 금동대세지보살좌상(고려 원간섭기)


생령좌 : 홍천 수타사 목조사천왕상(조선), 고창 선운사 소조사천왕상(조선)

금수좌(코끼리) : 도갑사 해탈문 소조 보현동자상(조선)
'佛 > 교양 불교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불탱화 읽기 (0) | 2018.07.17 |
---|---|
불화 개관 및 팔상도 (0) | 2018.07.17 |
나한과 조사의 도상 (0) | 2018.07.17 |
보살의 도상과 종류 (3) | 2018.07.17 |
여러 명의 부처님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 (0) | 2018.07.17 |
부처님의 종류에 따른 불상의 특징 (5) | 2018.07.17 |
부처상의 자세와 수인 (3) | 2018.07.17 |
불교조각의 도상과 특징 (0) | 2018.07.17 |
불교의 교리와 종파 (1) | 2018.07.17 |
불교문화의 개관과 한국불교 약사 (1) | 2018.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