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교양 불교미술

부처상의 용어와 대좌의 종류

同黎 2018. 7. 17. 02:27

부처의 일반 도상과 용어


 

불신(佛身) : 부처님의 몸으로 불상의 가장 중심을 이룹니다.

광배(光背) : 부처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조각에서는 크게 원형(圓形) 광배나, 주형(舟形:배 모양) 광배로 표현됩니다.

대좌(臺座) : 불신과 광배를 받치는 곳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백호(白毫) : 부처님의 이마 가운데 있는 흰 털로, 흔히 보석을 박아 표현합니다. 백호를 통해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고 합니다.

육계(肉桂) : 부처님의 머리 위에는 한 층의 살로 된 언덕이 더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육계입니다. 본래 인도의 상투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나발(螺髮) : 부처님의 머리카락으로 가닥가닥이 소라모양으로 말려 있는 것을 표현했기에 소라 나(螺)자에 머리카락 발(髮)자를 써서 나발이라고 합니다.

계주(桂珠) : 부처님의 머리에서 솟아있는 보주(寶珠)로 연원을 알 수는 없으나, 고려 이후에 많이 나타납니다. 머리 꼭대기에 있는 정상계주와 이마 위에 있는 중간계주가 있습니다.

삼도(三道) : 부처님의 목에 나 있는 3줄기의 주름을 말합니다.

두광(頭光) : 부처님 머리에서 나오는 빛을 말합니다.

신광(身光) : 부처님 몸에서 나오는 빛을 말합니다.

화불(化佛) : 광배에 나타나는 조금만 부처님의 형상으로 부처님이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법의(法衣) : 부처님이 입고 있는 곳을 말합니다. 부처님의 착의법에는 통견과 우견판단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통견(通肩) : 법의를 부처님의 양 어깨를 모두 덮도록 입은 상태를 말합니다.

우견편단(右肩偏袒) : 법의를 부처님의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도록 입은 상태를 말합니다.


* 대좌의 종류

사자(獅子)좌

가장 오래된 형태의 대좌로 사자 두 마리가 부처님을 떠받치는 모양. 삼국시대 이후로는 거의 나타나지 없음.

연화(蓮花)좌

가장 일반적인 대좌로 연꽃이 부처님을 받치는 모습. 엎어진 연꽃모양의 복련(伏과蓮)과 활짝 핀 모습의 앙련(仰蓮)이 있음.

수미(須彌)좌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으로 사각이나 팔각으로 만들어지며, 주로 실내에 부처님을 모실 때 쓰임. 수미단이라고도 한다.

생령(生靈)좌

귀신, 악인 등을 대좌로 삼은 것으로 한국에서는 주로 천왕문의 사천왕상의 대좌로 나타남.

금수(禽獸)좌

용, 사자, 코끼리 등이 대좌로 나타나는 것으로, 예가 많지는 않으나, 문수보살은 사자를, 보현보살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불상이 여러 점 전래되고 있음.

상현좌

불상의 법의가 대좌를 덮어 대좌라 뚜렷이 드러나지 않는 형식을 말함

암(巖)좌

대좌가 자연에 존재하는 바위 모양을 한 것으로 주로 나한상에서 나타남.

의(依)좌

불상이 의자에 앉아있는 형태로, 한국에서는 불상이 의좌를 취하는 경우 삼국시대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음. 다만 조선시대 시왕상이 의좌를 한다.




사각수미좌 :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통일신라 후기)


팔각수미좌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통일신라)


상현좌 : 부여 능사리사지 출토 석조여래좌상 (백제)


의좌1 : 경주 삼화령 애기부처 (신라)


의좌2 : 청곡사 목조 제석천, 대범천상 (조선)


연화좌 : 호림박물관 금동대세지보살좌상(고려 원간섭기)



생령좌 : 홍천 수타사 목조사천왕상(조선), 고창 선운사 소조사천왕상(조선)


금수좌(코끼리) : 도갑사 해탈문 소조 보현동자상(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