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여러 명의 부처님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

삼세불, 삼신불, 삼계불, 오방불 한 전각에 한 분의 부처님을 모시는 경우도 있지만, 3명 이상의 부처님을 모시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 때에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서 보통 3명의 부처님을 모시게 되는데, 이럴 경우 건물의 이름에 보(寶)자를 붙여 격을 높입니다. 가령 대웅보전, 극락보전 같은 이름이 이러한 경우입니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건물의 이름과 모셔진 부처님, 그리고 각종 원칙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삼세(三世)불 : 불교에서는 석가모니불이 열반에 든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설령 석가모니가 죽더라도 과거와 미래에는 많은 부처님이 차례로 내려와 불법이 끊기지 않는다는 이론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리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님을 ..

부처님의 종류에 따른 불상의 특징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불은 석가여래 등으로도 불리며, 불교를 창시한 교주 석가모니를 가리킵니다. 전 세계와 전시대에 걸쳐 가장 많은 양의 불상이 조성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석가모니불은 주로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설법인, 전법륜인, 선정인, 합장인, 통인 등을 취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좌상일 경우 항마촉지인을 취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다만 석가모니의 탄생을 표현하는 탄생불일 경우 반드시 천지인을 취합니다. 협시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일 경우가 많으며,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삼세(三世)를 나타낼때는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이 협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영산전이나 팔상전, 나한전 등에 위치할 때에는 두 명의 수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부처상의 자세와 수인

불상의 자세 결가부좌(結跏趺坐) : 부처가 좌선할 때 두 발을 완전히 꼬아 두 발바닥이 모두 하늘을 보게 하는 앉음새로 발을 꼰 순서에 따라 항마좌(降魔坐)와 길상좌(吉祥坐)가 있습니다. 반가좌(半跏坐) : 결가부좌에서 오른발의 발바닥만 하늘을 보고 왼발은 오른발 허벅지 안에 숨어있는 자세를 말합니다. 유희좌(遊戱坐) : 한 다리는 대좌위에서 결가부좌하고 한 다리는 대좌 아래로 내려트린 자세를 말합니다. 윤왕좌(輪王坐) : 한 다리는 결가부좌하고 한 다리를 세운 형태를 말합니다. 윤왕좌 : 금동보살윤왕좌상 유희좌 :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불상의 수인 부처님이 짓는 손동작을 수인이라고 합니다. 수인으로 부처님의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수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석..

부처상의 용어와 대좌의 종류

부처의 일반 도상과 용어 불신(佛身) : 부처님의 몸으로 불상의 가장 중심을 이룹니다. 광배(光背) : 부처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조각에서는 크게 원형(圓形) 광배나, 주형(舟形:배 모양) 광배로 표현됩니다. 대좌(臺座) : 불신과 광배를 받치는 곳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백호(白毫) : 부처님의 이마 가운데 있는 흰 털로, 흔히 보석을 박아 표현합니다. 백호를 통해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고 합니다. 육계(肉桂) : 부처님의 머리 위에는 한 층의 살로 된 언덕이 더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육계입니다. 본래 인도의 상투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나발(螺髮) : 부처님의 머리카락으로 가닥가닥이 소라모양으로 말려 있는 것을 표현했기에 소라 나(螺)자에 머리카락 발(..

불교조각의 도상과 특징

2. 불교조각의 도상과 특징 불교미술 중에서 가장 중심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불교조각입니다. 불교조각은 1차적인 신앙의 대상으로 미술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여기서는 부처와 보살 그 밖의 여러 신의 조각적인 특징과 더불어 불교조각에서 잘 등장하지 않는 신들의 특징까지 간략하게 살펴보면서 불교미술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 불상 개관 ①불상의 전래와 역사 불교 초기, 인도에서 부처님은 감히 표현할 수 없는 대상으로 여겨져 보리수나 발자국, 수레바퀴(법륜) 같은 상징으로만 표현했으나, 대승불교가 생기고 불교가 발전하면서 인도 간다라 지방과 미투라 지방에서 처음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중국으로 전래된 불상은 상당한 중국화 과정을 거치면서 변모하게 됩니..

불교의 교리와 종파

불교의 교리와 종파 ①불교의 주요 교리 불교의 교리는 매우 깊고 오묘하면서도 다양하기 때문에 글 하나로 정리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여기서는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만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사성제 : 사성제란 부처님이 가장 처음 한 설법이자 전 생애를 관통하는 설법으로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인생은 고통의 연속이라는 고(苦), 고통이 어디서 오는지를 밝히는 집(集), 고통이 사라진 세계는 무엇인지 밝히는 멸(滅), 고통을 사라지게 하기 위한 수행법을 밝힌 도(道)의 네가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팔정도(八正道) : 사성제의 도(道)에 해당하는, 8가지 다른 수행법으로 정견(正見) 바르게 보기, 정사유(正思惟) 바르게 생각..

불교문화의 개관과 한국불교 약사

1. 개관 불교는 부처님을 믿는 종교를 가리킵니다.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천 수백여년동안 불교는 한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도 한국인의 절반 정도가 불교를 믿고 있습니다. 정부에 등록된 전통사찰만 수 천 곳에 달할 만큼, 불교 문화유산 역시 많습니다. 따라서 불교문화를 파악하는 것은 답사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불교문화는 많은 이들에게 다가가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여러 불교와 불교문화재의 용어들이 한자로 되어있고, 용어의 의미를 이해하기보다는 무조건 외우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불교는 답사수업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치를 떠는 부분이 되어가는 것 같네요. 하지만 불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본 의미를 조금만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

밀교입문

밀교입문 勝友俊敎 著 慧 能 譯 머리말 근래에 밀교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저는 이전에 춘추사(春秋社)에서 전후 5회에 걸쳐 밀교에 대한 줄거리를 강연한적이 있습니다. 그 때의 강연 내용을 토대로하여 다소 수정을 가한 것이 이 책이고, [밀교입문]이라고 이름붙혔습니다. 밀교의 입문서로 그 내용을 어떻게 집약하면 좋을까 생각을 했으나, 시간의 제약 때문에 쫓기면서 정리해 본 것이 불충분한 것이긴 하지만 본서의 목차와 같은 내용을 같게 되었습니다. [제1부 밀교의 줄거리]는 널리 밀교란 어떤 의미의 가르침인가, 또는 밀교발전의 역사와 전해진 지역, 그리고 밀교경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하는 문제 등, 밀교를 외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2부 진언밀교의 사상]은 진언밀교의 사상..

佛/불교세상 2015.11.05

반야심경

] 한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그러하니라.사리자여!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상·행·식도 없으며,안·이·비·설·신·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

佛/불교세상 2012.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