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치지 못하리란 걸 알면서도 밤새워 쓰는 편지도 있고 오지 않으리라는 걸 알면서도 기다려지는 편지가 있습니다. 돌아오지 못한다는 걸 알면서도 기다리게 되는 사람이 있고 다시는 볼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보고 싶은 사람이 있습니다.
기다리지 않아도 밤은 자꾸 오고 술마저 취하지 않는 밤. 새벽이 얼마나 더디 오는지 새벽을 견뎌 본 자는 압니다.
그런 밤, 신 내린 무당처럼 산에 올라 부를수록 상처가 되는 이름을 목 놓아 부르는 일은 얼마나 어리석습니까? 언제나 늦게 오던 사랑. 다시는 볼 수 없을 때가 되어서야 그게 사랑이었음을 깨닫는 일은 얼마나 쓸쓸합니까?
내가 스물 하나 일 때 박창수도 스물 하나였고 내가 스물 셋일 때 스물 하나였던 김주익을 만났던 언제나 거기서부터 떠오르는 이 형벌 같은 기억들은 얼마나 잔인한 일입니까?
참 잘 자란 용찬이가 지 에미가 가슴속에 눈물의 저수지를 파놓고 그 물 떠 먹여가며 그 물로 씻겨서 키웠을 용찬이가 우리가 처음 만났던 스물한 살. 소나무처럼 푸르르던 그 때 그 애비의 나이가 되었건만 아직도 죄스럽기만 한 우리는 준엽이 그 아이가 그 애비만한 나이가 될 때 그 때 우린 그 아이 앞에 무엇이 되어 서 있을까요?
내게 남은 시간들을 다 내주고 그들이 단 하루를 더 살 수 있었다면 그렇게 하고 싶었습니다. 그 하루 동안 아이들만이라도 볼 수 있게 했어야 했습니다.
그 따뜻하고 보드라운 것들을 비벼보고 만져보고 빨아도 보고 부서지도록 안아도 보고 그랬어야 했습니다. 미안하다는 너무너무 미안하다는 그 말이라도 했어야 했습니다.
감빵 안에서 징벌방에서 그리고 대공분실에서 혼자 당하는 일의 처절함, 혼자 견뎌내야 하는 그 참혹함을 알면서도 하나는 감방 안에서 하나는 크레인 위에서 하나는 도크바닥에 아무리 생각해도 그렇게 보내는 게 아니었던 겁니다.
박위원장이 주익씨를 만나지 않았기를 빌고 또 빌었습니다. 저승에도 북극이란 게 있고 남극이란 것도 있어서 그들의 거리는 천리나 만리나 되게 멀어서 그들이 우연히라도 마주치는 일이 없기를 예수님께 빌고 부처님께도 빌었습니다.
박위원장이 뭐라고 하겠습니까? 사람을 어떻게 이렇게 보냈냐고 주익이를 어떻게 이렇게 보냈냐고 얼마나 원망을 하겠습니까? 그 착해빠진 사람이 혼자서 목에 밧줄을 걸 때까지 니들은 도대체 어디서 뭘했던 거냐고 물으면 뭐라고 하겠 습니까?
산 자는 누구나 죄인이었던 그 날 이후. 우리는 각자의 양심에 검은 리본을 달았었고 스스로에 대해 반성이란 것도 했습니다. 129일이 얼마나 힘들었으면 목매달아 죽은 시신의 얼굴이 편안해 보였을까? 함께 하지 못했던 자책감에 몸부림을 했었고 우리 모두의 죄를 혼자 뒤집어쓰고 속죄한 재규형 때문에 한 동안 서로 눈을 마주치는 일조차 두려워했습니다. 누구나 복수를 다짐했었고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맹세도 했습니다. 그들이 남기고 간 새끼들 또래의 아이들을 마주치는 것만으로도 살가죽이 불에 닿는 느낌이었고 키가 큰 사람을 보는 것만으로도 숨이 턱 막히고 했었습니다.
연대해야 더 이상 죽지 않는다고 수천번도 더 외쳤고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깨달은 노동자는 하나란 사실을 다시는 잊지 말자 했습니다. 우리 그 때 그러지 않았습니까?
우리 그 때 다들 그러지 않았습니까? 부산 노동자도 그랬고 울산 노동자도 그랬고 여성노동자도 그랬고 남성 노동자도 그랬고 늙은 노동자도 그랬고 젊은 노동자도 그랬습니다. 정규직도 그랬고 비정규직 노동자도 그랬고 금속노동자도 그랬고 병원노동자도 그랬고 밖에서 일하는 노동자도 그랬고 안에서 일하는 노동자도 그랬습니다.
그 일로부터 20년이 지나고 200년이 지난 것도 아닌데 그토록 철폐를 외쳤던 신자유주의는 우리들의 자연스런 일상이 되어 있습니다.
비정규직은 먹고 살기 위해 잔업철야를 해야 하고 정규직은 짤리기 전에 한 대가리라도 더 하려고 잔업특근에 목숨을 겁니다. 연대투쟁 열심히 하는 집행부는 재선에 실패하고 임금 많이 올리고 성과급 많이 따내는 집행부는 인정받습니다.
성과급 받아서 차 바꾸고 그 차 값 할부금 때문에 잔업을 또 하고 뼈골 빠지게 잔업한 돈 모아서 큰 집으로 이사했으니 융자 갚고 관리비 감당하려면 특근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큰 아이 학원비는 점점 늘어나는데 작은 아이마저 학원을 시작해야 하고 그렇게 키운 새끼들을 죄다 비정규직이 되고 비정규직과 실업자는 각자 알아서 알맞은 방법으로 자살하고 정규직은 과로사와 산재로 죽습니다.
열사람 하던 일을 다섯 사람이 해도 충분하다는 걸 우린 점점 늘어나는 과로사와 근골격계를 감수하면서 입증해줬고 그렇게 우리는 저들의 구조조정을 합리화 시켜줬습니다. 결국 다섯 사람이 하던 일을 세사람이 해도 된다는 또 다른 구조조정의 무덤을 우린 우리 손으로 열심히 파고 있습니다.
이제 자본가들은 더 이상 그들의 손으로 덫을 놓지 않습니다. 노동자들 스스로 덫을 만들고 그 덫에 걸릴 순서를 알아서 정하고 1번 비정규직, 2번 여자, 3번 늙은이 순으로 차례대로 그 덫에 밀어 넣습니다.
공장 한쪽에서 비정규직은 투쟁하고 그 코앞에서 정규직들이 탁구를 치고 족구를 하는 것도 더 이상 낯선 광경이 아닙니다.
비정규직의 숫자가 정규직을 넘어선 공장에서 노조간부들이 사무실에 앉아 각자 등 돌리고 게임에 몰두하는 모습도 이제 자연스런 일상이 돼버렸고 에어컨 빵빵한 노조 사무실 소파에서 노조간부들이 연예인 X파일을 논할 때 엉덩이 붙이고 앉을 데라곤 화장실 바닥 밖에 없는 청소용역 아지매들에겐 회사의 냉대보다는 노조의 무관심이 더 뼈저리게 다가옵니다.
이은주의 자살에 대한 관심만큼 이용석의 죽음에 우리들이 관심을 쏟았더라면 박일수는 안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아직도 저는 합니다. 최희섭이나 박주영에 대한 관심의 반만이라도 우리가 과거사법, 사립학교법에 대해서 가진다면 자식을 먼저 보낸 늙은 부모님들이, 줄줄이 돌아가시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전교조 동지들이 그들끼리만 거리를 헤매는 수치스런 일만큼은 막아낼 수 있다고 저는 여전히 믿습니다.
농민들이 제 손으로 키운 과일을 불태우며 울면서 싸우는데 수입과일을 사먹는 노동자가 어찌 세상의 주인일수 있겠습니까? 자기가 쏟은 오물을 청소용역 아지매를 전화로 불러 치우게 하는 노조간부가 누구의 존경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규정이라는 이유로 역 구내에서 노점상 할머니와 노숙자를 눈물 한 방울도 없이 쫓아내는 노조간부가 집회에 나와서 외치는 평등과 해방은 얼만 큼이나 진실입니까?
배차 시간 때문이란 걸 알지만 장애인이 온 힘을 다해 손을 드는데 그냥 지나치는 버스 노동자가 자신들이 투쟁할 때 누구에게 당당히 연대를 요구할 수 있겠습니까?
지율스님의 그 일관된 진정성이 김주익의 그것과 너무나 닮아 있다는 그 생각을 왜 우리는 안합니까?
이주노동자들에게 제일 먼저 가르칠 건 빨리빨리와 "씨"발"놈"이 아니라 연대와 인간의 가치입니다.
1300만 중에 840만이 비정규직이 되는데 10년이 채 안 걸렸습니다. 비정규직과 정규직은 무궁화와 고속철이 아니라 같은 열차의 앞 칸과 뒤 칸일 뿐입니다. 1호차부터 10호차까지 비정규직을 인질로 태우고 지옥으로 돌진하는 이 죽음의 고속철을 11호차부터는 정규직이 실려 있고 자유석엔 우리 아이들이 실려 달려가고 있는 겁니다. 300KM로 달리는 고속철에서 혼자 뛰어내릴 수 없습니다. 다 죽지 않으려면 멈춰야 합니다.
우리가 가진 게 콩 한쪽뿐이라 하더라도 그걸 나눌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진정한 연대입니다. 대우자동차 창원 공장처럼 부산은행처럼 정규직이 나서서 비정규직을 조직하는 일부터 합시다. 비정규직이 불쌍해서가 아니라 다 죽지 않으려면 그래야만 합니다.
스물한 살 용접공 제게 그 때 가장 두려웠던 건 아침이 온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매일 그런 아침을 맞을 비정규직들에 실업자들에게 우리가 희망이 돼야 하지 않겠습니까?
14년째 되풀이하는 다짐이지만 내년에 좀더 달라져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心 > 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종강의 세 바보 이야기 (0) | 2013.03.12 |
---|---|
민주주의는 결코 '준법'을 통해 얻어지지 않는다 (0) | 2013.03.12 |
장애인이동권연대 박경석동지가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를 사양하며 쓴글 (0) | 2013.03.12 |
사회주의 여성주의란 무엇인가? - 바버라 에런리치 (0) | 2013.03.12 |
10월 혁명을 옹호하며 - 레온 트로츠키 (0) | 2013.03.12 |
전태일열사의 유서 (0) | 2013.03.11 |
들불 (0) | 2013.03.11 |
대추리 이장이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0) | 2013.03.08 |
11월 26일 부산 교사대회 김진숙 지도위원 연대사 (0) | 2013.03.08 |
김진숙지도위원이 박근혜에게 보낸 편지 (0) | 201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