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조선

조선후기 경제사 세미나 커리큘럼

同黎 2014. 1. 7. 22:10

조선후기 경제사 세미나 커리큘럼



1. 경제사 총론

1) 이정철, 2000,「조선후기 경제변동의 새로운 성격규정을 위하여」,『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 이영훈, 2004,「총설 : 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과제」,『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홍식, 1981,『조선시대 봉건사회의 기본구조』, 박영사 中 제1장, 제2장

4) 손병규, 2007, 「조선시대 국가경제의 운영원리: 국가재분재의 관점에서」,『조선시대사학보』41

*참고: 미야지마 히로시, 2002,「내가 본 조선후기상과 토지조사사업」,『역사비평』60

*참고: 須川英德, 2011,「제5장 朝鮮 - 經濟史」,『朝鮮史硏究入門』, 名古屋大學出版會


2. 농업사 (1주차)

1) 김용섭, 1995,「양안의 연구」,『조선후기농업사연구』1, 일조각

2) 김용섭, 1995,「속 양안의 연구」,『조선후기농업사연구』1, 일조각

3) 김용섭, 1995.「조선후기 경영형 부농과 상업적 농업」,『조선후기농업사연구』2, 일조각

4) 송찬식, 1996, 「조선후기 농업에 있어서의 광작운동」,『조선후기 사회경제사의 연구』, 일조각


3. 농업사 (2주차)

1) 이영훈, 1988,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한길사


4. 상업사

1) 강만길, 1973,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학교 출판부

2) 백승철, 2002, 「영·정조대 상업정책의 전개와 그 특징」,『동방학지』118

3) 이욱, 1992,「18세기 서울지역 사상도고의 성장과 주교사의 설치」, 고려대 석사논문

4) 고동환, 1985,「18, 19세기 외방포구의 상품유통발달」,『한국사론』13


5. 전세 (공법)

1) 오정섭, 1992,「高麗末·朝鮮初 各司位田을 통해서 본 중앙재정」,『한국사론』27

2) 박시형, 1941,「이조 전세제도의 성립과정」,『진단학보』1941

3) 강제훈, 2001,「조선초기 전세제 개혁과 그 성격」,『조선시대사학보』19


6. 전세 (비총제)

1) 박종수, 1993,「16, 17세기 전세의 정액화 과정」, 『한국사론』30

2) 이영훈, 1980.「조선후기 팔결작부제에 대한 연구」,『한국사연구』29

2) 이철성, 1993,「18세기 전세 비총제의 실시와 그 성격」, 『한국사연구』81

4) 안병욱, 1989,「19세기 부세의 도결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국사관논총』7


7. 대동법

1) 고석규, 1985,「16·17세기 貢納制 改革의 方向」,『韓國史論』12

2) 박현순, 1997,「16~17세기 貢納制 운영의 변화」,『韓國史論』38

3) 이정철, 2012,「6장: 대동법은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대동법』, 역사비평사


8. 군역·요역

1) 김석형, 1941,「이조초기국역편성의 기저」,『진단학보』14

2) 정연식, 1985,「17·18세기 良役均一化政策의 推移」,『韓國史論』13

3) 윤용출, 1982,「17·8세기 역부 모립제의 성립과 전재」,『한국사론』8


9. 환곡

1) 오일주, 1992,「朝鮮後期 財政構造의 變動와 還穀의 賦稅化」,『實學思想硏究』

2) 문용식, 2001,『朝鮮後期 賑政과 還穀運營』, 경인문화사

3) 송찬섭, 2002,「제1장 19세기 전반 還耗의 賦稅化와 還逋充完策」,『조선후기 환곡제개혁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지방재정

1) 김용섭, 1980,「조선후기의 민고와 민고전」,『동방학지』23·24

2) 김덕진, 1992,「조선후기 지방관청의 민고 설립과 운영」,『역사학보』133

3) 손병규, 2003,「조선후기 재정구조와 지방재정운영: 재정 중앙집권화와의 관계」,『조선시대사학보』25


11. 광업, 수공업

1) 송찬식, 1973,『李朝後期 手工業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2) 유승주, 1993,『조선후기 광업사 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12. 호적

1) 한영국, 1985,「조선왕조 호적의 기초적 연구」,『한국사학』6

2) 권내현, 2001,「조선후기 호적의 작성과정에 대한 분석」,『대동문화연구』29

3) 정진영, 2002,「조선후기 호적 ‘호’의 편제와 성격」,『대동문화연구』40

4) 손병규, 2001,「호적대장의 직역기재 양상과 의미」,『역사와 현실』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