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조선

조선시대 경제사 세미나 1차 커리

同黎 2012. 7. 16. 02:34

조선시대 경제사 세미나 1차 커리
役制과 貢納制를 경제사 세미나 첫머리에 보려는 이유는 이 두 가지가 조선시대 전 시기를 거쳐 국가재정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전세제도가 비교적 貢法으로 비교적 일찍 정리되는데 비하여, 봉건국가를 운영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인 두 가지 문제는 조선후기까지 지속적으로 국가에서 논의되고 다양한 방법이 제안됩니다. 때문에 역제와 공납제를 이해하는 것은 500년간 계속되는 변통논의를 이해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역제는 국가가 人身을 동원해야 한다는 면에서 인민의 가장 큰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일찍부터 代立·代納이 등장하고 이러한 경향은 중국사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입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제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
졌던 역의 종류와 성격에 대하여 명확히 구분하고 요역과 신역-군역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고전적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잡역에 대해서는 지방재정 세미나 때 따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주차. 역이란 무엇인가?
김석형, 1941, 「이조초기 국역편성의 기저」, 『진단학보』14
김옥근, 1987, 『조선왕조재정사연구Ⅱ』, 일조각, 제1장 제1절
김성우, 2001,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제1장

2주차. 조선전기의 요역제
김종철, 1992, 「조선초기 요역부과방식의 추이와 역민식의 확립」, 『역사교육』51
윤용출, 1986, 「15·16세기의 요역제」, 『부대사학』10
강제훈, 1995, 「조선초기 요역제에 대한 재검토」. 『역사학보』145

3주차. 요역제의 모립화
김용섭, 2004, 「조선후기의 부세제도 이정책」, 『한국근대농업사연구(신정증보판) 3』
윤용출, 1998,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4주차. 신분과 身役
민현구, 1968, 『한국군제사 : 근세조선전기편』, 제1장 근세조선전기 군사제도의 성립
이태진, 1968, 『한국군제사 : 근세조선전기편』, 제2장 근세조선전기 군사제도의 동요
지두환, 1988, 「조선전기 군역의 납포체제 확립과정」, 『한국문화연구』1

5주차. 양역변통과 균역법
차문섭, 1969, 「임진란 이후의 양역과 균역법의 성립」상·하, 『사학연구』10·11
정연식, 1985, 「17·18세기 양역균일화정책의 추이」, 『한국사론』13
정연식, 1993, 「조선후기 역총의 운영과 양역 변통」,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김우철, 1990, 「18세기 전반 사모속의 실태와 그 성격」,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모든 주에는 김옥근, 『조선재정사연구Ⅱ』의 해당 부분을 읽어 옵니다.
*우리가 각 주제에 해당하는 『반계수록』과 『목민심서』를 읽는 건 어떨까요? 우리의 능력을 보고 생각해 봅시다.
*좋은 논문 아는 것 있으면 더 추천해주세요.

이후의 커리
공납제 : 전천효삼, 박도식, 이정철, 한영국, 덕성외지자
전세-전정 : 이영훈, 박시형, 강제훈, 이철성, 정선남, 오정섭, 방기중
지방재정-民庫·雜役 : 손병규, 김덕진, 권내현, 진천수길
왕실재정 : 송수환, 이욱, 조영준
환곡 : 양진석, 송찬섭
농업사 : 김용섭, 이영훈, 김건태
상업사 : 강만길, 오성, 이욱, 김동철
선운업사 : 최완기
수공업사, 무역사는 일단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