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조선 47

내수사추쇄관혁파절목

추쇄관혁파절목(推刷官革罷節目) 내수사(內需司)에서 추쇄관을 정해 보내 노비(奴婢)를 조사해 내는 것은 물고(物故)한 자를 제외하고 출산(出産)한 자를 기록하여 실제대로 시정하려는 것이다. 근래에는 쇄관이라 이름한 자가 국법을 무시하고 오로지 자신만을 살찌우기를 일삼아 양민(良民)으로 천파(賤派)에 들지 않은 자도 공갈하여 추착(推捉)함이 많고 내노(內奴)로 명백한 내력이 있는데도 도리어 농간을 부려 사탈(私頉)하는 등 갖가지로 조종(操縱)하며 오직 뇌물(賂物)만 요구한다. 그래서 선조(先朝) 때 감공(減貢)한 혜택이 경명(景命)의 일단(一端)을 이어가지 않는바 아니나 노비들이 지탱해 보존할 수 없는 것이 오히려 여전한 것은 참으로 어질지 못한 쇄관이 많은 데서 말미암는다. 지난번 우리 성상께서 양암(諒闇..

史/조선 2014.07.30

조선후기 경제사 세미나 커리큘럼

조선후기 경제사 세미나 커리큘럼 1. 경제사 총론1) 이정철, 2000,「조선후기 경제변동의 새로운 성격규정을 위하여」,『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2) 이영훈, 2004,「총설 : 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과제」,『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출판부3) 김홍식, 1981,『조선시대 봉건사회의 기본구조』, 박영사 中 제1장, 제2장4) 손병규, 2007, 「조선시대 국가경제의 운영원리: 국가재분재의 관점에서」,『조선시대사학보』41*참고: 미야지마 히로시, 2002,「내가 본 조선후기상과 토지조사사업」,『역사비평』60*참고: 須川英德, 2011,「제5장 朝鮮 - 經濟史」,『朝鮮史硏究入門』, 名古屋大學出版會 2. 농업사 (1주차)1) 김용섭, 1995,「양안의..

史/조선 2014.01.07

[석사논문 전문]17세기~18세기 전반 僧軍의 확대와 調發방식의 변화

碩 士 學 位 論 文 17세기~18세기 전반 僧軍의 확대와 調發방식의 변화 高麗大學校 大學院韓國史學科朴 世 然 2013年 12月 日 머리말 1. 17세기 전반 국가의 僧軍 활용과 調發 1) 임진왜란 이후 국가의 승군 활용 2) 總攝을 통한 간접적 승군 조발 2. 17세기 후반 義僧役의 시행과 僧軍 調發 방식의 변화 1) 孝宗代 南漢山城 정비와 義僧役의 시행 2) 국가의 직접적 義僧 조발 방식의 성립 3. 18세기 전반 地方 僧軍의 증가와 義僧防番錢制의 시행 1) 지방 방어체제의 정비와 地方 僧軍의 증가 2) 均役法 시행과 義僧防番錢制의 시행 結論 참고문헌附表·附錄 머리말 임진왜란이라는 거대한 전쟁을 겪은 17세기의 조선은 여러 과제에 당면하였다. 전쟁이라는 극단적 상황을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국가를 운영하..

史/조선 2013.12.30

부석사의 미투리 생산

조선시대 승려들은 왕실과 연결된 사찰을 제외하고는 (혹은 왕실과 연결된 절이라고 할 지라도) 대부분 자급자족하여야 했기 때문에 농업은 물론이고 수공업과 상업에도 종사하여야 했습니다. 농업은 조선시대의 가장 기본적인 산업이기 때문에 승려들 역시 당연히 농업에 종사했지만, 수공업과 상업도 이루어졌다는 것이 특이합니다. 조선시대 사원은 대부분 국가에 공물을 부담하여야 했습니다. 지리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원 부담의 공물은 종이, 미투리, 고사리, 도라지, 잣, 밤, 화살대용 대나무, 목기, 버섯, 머루, 홍시, 으름 등입니다. 그 중에서도 종이는 국가와 지방관청이 사원이 부담시키는 가장 보편적인 물건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큰 사찰에서는 종이를 만들어 중앙 관청이나 지방 관청에 납부하였습니다. 지금도 그..

史/조선 2013.12.09

正祖의 龍珠寺 창건과 운영

正祖의 龍珠寺 창건과 운영한국사학과 석사수료박세연머리말 正祖는 아버지인 思悼世子를 伸寃하면서 동시에 永祐園을 수원으로 옮기고 園號를 顯隆園으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현륭원에 필요한 祭需를 공급하고 무덤을 수직할 造泡寺를 건립했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의 용주사이다.1) 조선왕조는 새로운 사찰의 창건을 금했기 때문에 정조는 현륭원 근처의 갈양사라는 절의 터를 찾아내어 이를 중건한다는 명목으로 용주사를 사실상 창건하였다. 이후 용주사는 왕실의 지극한 비호를 받으며 크게 성장하였고, 불교계 내부에서 큰 힘을 발휘하였다. 일제시대 불교계의 실력자로 30본산 연합사무소의 위원장을 지내고 불교중앙학림을 세움 姜大蓮(1875~1942)이 바로 용주사 주지였다는 사실은 용주사의 높은 위상이 20세기까지 이어졌음을 반증한다...

史/조선 2013.10.26

『조선사연구입문』 조선시대 경제사 번역 (노준석)

須川英德, 「제5장 朝鮮 - 經濟史」, 『朝鮮史硏究入門』 , 2011, 名古屋大學出版會 (1) 경제사학의 과제경제사라는 학문영역은 역사적인 과거에 있어 경제, 즉 물질의 생산·분배·소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농업·공업·상업·화폐·재정 등 개별적인 분야와 그것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제시스템, 이 두 가지 측면을 해명하고자 하는 학문영역이다. 다루는 대상이 관계되어 있어 경제학 안에 籍을 두고 있는데, 실제 연구 작업은 과거 史實을 재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헌사료를 다룰 필요가 있고 그 점에 있어서 역사학과 크게 다르지 않다.그러나 물가와 통계 등에 관하여 신뢰할 수 있는 숫자가 어느 정도 정리되어 이용할 수 있는 시대에 있어서는 다양한 경제학의 분석수법을 이용한 수학적 처리도 가능해진다. 논증 수..

史/조선 2013.10.04

조선후기 의승·승군의 배치

도군현주둔지사찰군사수비고평안도평양북성영명사총섭 1승장 1수승 1용강황룡성황룡사의주백마산성원통사, 나한사철산운음산성국청사서림성서청암용천부성서호암용골성대흥사영변약산성누운사, 천주사북성수국사묘향산사고보현사총섭 1승군 39폐지→적상산사고로 이전덕천금성금성사자산우마성보국사자모산성자은사, 담담사, 송암사, 망월사, 진국사, 청명사, 천왕사, 보민사, 황학사, 천주사, 만전사창성당아산성용문사구성부성만년사곽산능한산성만경암정주읍성운은사함경도단천화장사승장 1표하군 14승군 191길주승장 2승초관 2승군 280황해도서흥대현산성자연사승장 1은율구월산성제중암황주정방산성성불사, 상원암, 관음사, 일출사, 도증암승군 20평산태백산성태백사, 망월사해주수양산성은적사황해수영승장 1승군 298강원도원주영원산성산성사(영원사?)승장 1회양수..

史/조선 2013.07.10

조선시대 수군제도의 성립과 변화

조선시대 수군제도의 성립과 변화 1. 조선전기 수군 체제의 정비 조선시대 수군의 편제는 모두 왜구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연악 지역을 중심으로 왜구의 침입이 빈번했으며 심지어 내륙 깊숙이 혹은 수도 가까이까지 왜군이 침입해온 경우도 있었다. 황산대첩 등에서 왜구를 물리친 바 있었던 조선의 태조는 개국 초부터 왜구 토벌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아직 체계적·조직적 수군제도를 정비하지는 못했고 임시방편으로 각 지방에 수군도절체사를 파견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수군 체제 정비가 시작되어 수군도절제사(水軍都節制使)를 정점으로 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만호(萬戶)·천호(千戶)·백호(百戶) 등의 관직이 설치되었다. 본격적인 수군 체제의 정비와 확장은 태종과 세종..

史/조선 2013.05.05

17세기의 주요 사찰 건립 내역

연도사찰화주내용선조34(1601)봉정사 대웅전 개연 중수미황사 대웅전 중창송광사응선수각·천자암·보조암·임제당 중건선조36(1603)통도사 금강계단 중수선조37(1604)불국사해청관음전 충창선조38(1605)화암사 극락전 중수선조?(미상)숭림사 보광전 건립광해군1(1609)관룡사 약사전 삼창송광사부휴조전·동행랑·천왕문 중수광해군3(1611)화암사 우화루 삼창광해군4(1612)불국사 경루·범종루 중창부석사 무량수전 개연광해군5(1613)범어사 대웅전 중창광해군6(1614)선운사 대웅보전 건립광해군8(1616)봉정사 고금당·화엄강당 건립광해군9(1179)관룡사 대웅전 중창광해군12(1620)용흥사 대웅전 건립광해군13(1621)전등사지경대웅전·약사전 중간광해군14(1622)해인사 수다라장 중수광해군?(미상)대..

史/조선 2013.04.22

제도사

조선시대에 대해서 이제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뜻밖에도 제도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그 원인의 일부는 우리가 갖고 있는 '제도' 그 자체에 대한 부적절한 인식 때문일 것이다. 흔히 제도는 법이나 행정 규정의 조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것도 제도의 중요한 일부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제도는 그것보다 훨씬 넓고 깊다. 법과 행정 조문이 물 밖에 드러난 빙산이라면, 관련된 관행은 물 아래 숨겨져 있는 빙산 같이 거대하다. 법이나 행정 규정은 제도의 일부만 표현할 수 있을 뿐이다. 나아가 제도는 빙산 같은 무기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진화하는 유기체에 가깝다. 유기체가 그렇듯이 제도도 진화의 전 단계를 거치지 않고는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다. - 이정철, 『언제나 민생을 염려..

史/조선 2013.04.06

17세기 조선과 유학

17세기 조선과 유학 석사 4 박세연 17세기 조선은 어떤 사회이며, 17세기의 조선 유학은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는가? 17세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을 거치고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개혁의 필요성이 제기되던 시기이다. 동시에 명의 멸망과 청의 등장이라는 동아시아적 대사건 속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이를 어떻게 설명하고 대응해야 하는지 고민해야했다. 때문에 17세기 지식인들의 사상, 그리고 그 근간을 이루고 있는 유학에 대한 연구는 곧 조선후기 사상계의 성격과 연결되는 것이기도 하다.그러나 17세기 사상계와 유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다른 시기에 비하여 소흘한 것이 사실이다. 16세기 사상사가 退溪와 栗谷, 南冥과 花潭 등을 통해 “조선성리학”이 성립된 것으로 주목받았으며, 18세기 사상사..

史/조선 2012.12.24

『삼국유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해 본 불교 신앙의 연속성과 변화상

『삼국유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해 본 불교 신앙의 연속성과 변화상 석사 2 박세연 1. 머리말한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연구방법은 각 시대별로 그 시대적 특징을 문제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사’라는 틀 안에서 같은 주제를 설정하고 그 것의 연속성과 변화상에 주목한 연구는 흔치 않았다. 때문에 ‘한반도’라는 일정한 공간 안에서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역사학에서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민족사와 일국사에 대한 해체 담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통시대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한국사라는 개념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이며, 민족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관점을 무엇이 되어야 할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때문..

史/조선 2012.12.18

사명당 유정과 일본

四溟堂 惟政과 日本 한국사학과 조선후기 석사 1박세연 1. 문제제기2. 사명당 유정과 임진왜란 1) 출생과 승려로서의 삶 2) 임진왜란 시기의 활동3. 사명당 유정의 일본 使行 1) 유정의 史臣 差出 2) 일본에서의 활동 3) 유정의 對日 인식4. 사명당 유정의 역사적 위치5. 맺음말 1. 문제제기 불교는 동아시아사를 이야기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사상사적으로도 그 영향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사의 영역에서도 반드시 다루어지는 영역이다. 그러나 그 영향력은 시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13~14세기에 그 융성의 정점을 다하고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를 기점으로 점차 쇠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국의 명, 한국의 조선, 일본의 무로마치 시대가 여기에 속한다. 이 이..

史/조선 2012.12.16

절 안에 들어선 사액서원

표충사에 보관중인 사명대사 진영 이번 강의는 저번 특강을 구체화하여서 사찰 안에 사액서원이 등장하게 되는 특징적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절과 사액서원이라... 마치 절 안에 교회가 있는 것처럼 어울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조선시대 불교는 많은 핍박을 당했고, 절을 무너트리고 무덤을 쓰거나 서원, 재실을 세우는 경우가 빈번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지방, 특이 경상도 지방에 조사를 나가면 서원 주춧돌로 탑의 부재를 쓰거나, 무덤 석물로 석등이나 석탑 부재를 가공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임진왜란 이후 사찰 안에는 유교식 사당이 많이 등장하게 됩니다. 사찰 안에 유교식 사당이 등장하는 것은 두가지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왕실의 복을 빌거나 죽은 왕족의 극락왕생을 비는 사찰로..

史/조선 2012.11.27